본문 바로가기

약초40

약모밀(어성초) 효능 알아보기 약모밀 약모밀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의 산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입니다. 잎 모양은 고구마 잎을 닮았고 줄기는 붉습니다. 초 여름철에 줄기 끝에서 네 개의 흰 꽃받이가 있는 노란 꽃이 하나씩 핍니다. 잎과 줄기에서 고기 비린내를 닮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魚腥草)라고도 부릅니다. 어성초라는 이름 말고도 중약초, 즙채, 십약 등의 여러 이름이 있습니다. 약모밀은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탈홍, 악창 등 갖가지 염증 질환에 신약(神藥)입니다.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해독작용도 강력하며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약모밀은 지구상에 있는 모든 식물 가운데서 항균 작용이 가장 강력한 식물 중의 하나입니다. .. 2022. 6. 21.
삼백초 효능 삼백초 삼백초(三百草)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숲속 물기가 많은 땅에서 드물게 자라는 오래살이 풀입니다. 키는 30∼90cm 이고 뿌리는 하얗고 털이 있습니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잎 모양은 달걀 모양인데 초여름에 줄기 끝 꽃 밑에 있는 잎 2∼3개가 하얗게 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꽃은 이삭 모양으로 14cm넘게 길게 자라며 5∼8월에 꽃이 피어 9월에 열매를 맺습니다. 천성초(天性草), 수목통(水木通) 등의 여러 이름이 있습니다. 삼백초는 우리나라의 한의학 책에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거의 만병통치약이라 할 만큼 갖가지 질병에 뛰어난 효과를 지닌 약초 입니다. 중국의 본초학 책에서는 수종과 각기를 치료하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가래를 삭이고 막힌 것을 뚫어 주며 배 속에 있는 딱딱한.. 2022. 6. 20.
생강나무 효능 및 특징 생강나무 가지를 꺾으면 생강과 비슷한 내음이 나는 나무가 있습니다. 생강처럼 톡 쏘지 않고 은은하면서도 산뜻한 냄새가 나는 이 나무를 생강나무라고 합니다. 생강나무는 이른 봄철 꽃이 제일 먼저 피는 나무의 하나다. 산수유꽃을 닮은 노란 꽃이 개나리꽃보다 화사하게 피어 봄을 독차지합니다. 생강나무는 녹나뭇과에 딸린 낙엽 떨기나무입니다. 생강나무라는 이름 말고도 개동백, 황매목(黃梅木), 단향매, 새양나무, 아기나무 등의 여러 이름이 있습니다. 생강나무 씨앗으로는 기름을 짭니다. 이 기름은 동백기름이라 해서 사대부 집 귀부인들이나 고관대작들을 상대하는 이름 난 기생들이 즐겨 사용하는 최고급 머릿기름으로 인기가 높았습니다. 또 이 기름은 전기가 없던 시절 어둠을 밝히는 등불용 기름으로도 중요한 몫을 했습니다... 2022. 6. 16.
송이버섯 효능 송이버섯 송이버섯은 9월이나 10월에 30∼1백 년쯤 자란 소나무 숲의 양지바르고 바람이 잘 통하며 물기가 잘 빠지는 흙에 자라는 버섯입니다. 버섯갓이 펴지지 않았을 때 따서 식품으로 이용하는데 맛과 향이 좋아서 인기가 높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성, 양양, 봉화, 울진 같은 곳에서 많이 나는데 채취한 것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됩니다. 송이는 그윽한 솔향이 사람을 매혹하는 맛이 있을 뿐 아니라 갖가지 질병의 치료에도 효력이 큽니다. 송이는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염증을 치료하며 종양의 성장을 억제해줍니다. 송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버섯 가운데 항암 효과가 제일 높은 버섯중 하나 입니다. 어느 연구기관에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송이버섯에 들어 있는 다당류 성분인 β-1 4-16 글루칸은 흰쥐를 이용한 동물실험.. 2022.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