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둥굴레 효능 및 복용법 둥굴레 식량 대용 뿌리 수풀에는 먹을 식물들이 많이 있지만 장기적인 식량 대용으로는 둥굴레, 각시둥굴레, 진황정, 퉁둥굴레, 용둥굴레 뿌리가 제일 좋습니다. 이것과 같은 속의 식물이 15종이나 산야 곳곳에서 널리 자라고 있으므로 잎 생김새만 익혀 두면 누구든지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이들의 잎 생김새는 다 비슷합니다. 이들 뿌리는 땅속 깊이 박히지 않고 얕게 옆으로 구불구불 뻗는 특징이 있으며, 겉에 흙을 살살 헤집으면 힘 안 들이고 몇 끼 정도 먹을 양을 거뜬히 굴취할 수 있습니다. 군생 지역을 만나면 한 보따리 정도를 캘 수도 있습니다. 위의 여러 종류 가운데서 진황정을 가장 으뜸의 약재로 꼽습니다. 뿌리를 씹어 보면 약간 질긴 듯하면서 단맛이 샘솟고 구뜰한데 많은 점액질이 있어 끈적한 느낌이 있지.. 2022. 5. 26.
강활, 강황, 건강(마른 생강) 간단 설명 강활 효과: 호흡기, 신경계 질환을 다스립니다. 한방: 신경통, 관절염, 중풍, 감기, 두통, 치통에 다른 약재와 처방합니다. 약초 만들기: 가을에 뿌리를 캐서 잔뿌리를 제거하고 잘씻어서 햇볕에 말려줍니다. 용법: 치통에는 말린 약재를 1회 5g을 달려서 4~5회 복용합니다. 어깨의 관절통 에는 강활 + 방풍 + 당귀 + 감초 + 적작약을 각각 3g씩 배합해서 물에 달여서 복용해줍니다. 형태: 강활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2m 정도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갈래는 뾰족한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작은 산형화서 10~30개가 겹산형화서를 이루며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날개 있는 타원형의 분과로 여뭅니다. 특징: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합니다. 높은 산.. 2022. 5. 26.
영지버섯 효능 및 복용법 영지버섯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버섯류는 2000여종으로 학자들은 추측하며, 전 세계적으로 균류는 5만종을 넘으며 이 중에 버섯류는 2만여종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매년 새로운 균류(버섯 포함)가 새로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버섯의 종류를 간단하게 말하기는 쉽지 않다고 학자들은 말을 하고 있습니다. 명나라 이시진은 본초강목에서 영지(靈芝)는 적지 청지 황지 백지 흑지 자지 여섯 가지의 색상이 다른 버섯으로 분류했으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볍고 늙지 않고 장수하게 해서 신선(神仙)에 이르게 한다고 하였고 진시황이 신선술사(神仙術師) 노생(盧生)에게 명하여 볼로불사(不老不死)의 영약을 찾게 하였다는 이야기로 유명한데 그 노생이 멀리 우리나라와 일본까지 찾아 헤맨 것이 발로 영지버섯이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으며 .. 2022. 5. 26.
산초나무, 삼지구엽초 효능 및 복용법 산초나무 -효능 열매의 씨앗만을 추려내고 껍질은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한방에서는 껍질을 씁니다. 가정에서는 열매와 껍질을 통째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위장장애 열매는 방향성 건위약으로 주로 쓰이며, 허리와 무릎 시린데, 갖가지 위장장애, 구토, 복통, 기침, 살충, 회충 구제 등에도 쓰입니다. 여름철에 잎이 붙은 연한 가지를 채취해서 건조해 가루로 빻아 조미료로 약간씩 쓰는데, 이것을 계란 흰자와 약간의 밀가루를 섞어 화장품의 크림처럼 만들어 동상, 타박상, 요통, 근육통, 유방의 종기 등에 바르면 효과가 있습니다. 이 경우 환부에 두껍게 바르고 헝겊을 덮은 다음 굳어지면 다시 새로운 것으로 붙이는 일을 되풀이해야 합니다. 그러나 산초나무의 잎과 열매가 좋다고 해서 너무 많은 양을 먹으면 실명할 수도 .. 2022.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