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시력에 좋은 약초 결명자 결명자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결명은 서북향의 음습한 곳보다는 따뜻 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완전히 성장한 결명은 어른의 허리 높이 정도로 자라고, 큰 것은 어깨높이까지 자랍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려 6~8월에 노란색으로 핍니다. 9~10월에 활처럼 굽은 기다란 열매가 익는데, 꼬투리 속에 윤기가 나는 씨앗이 한 줄로 들어 있고, 이것을 결명자 라고 합니다. 씨앗을 사용하는 약초는 가을이 되어 잎이 시들고 약의 기운이 씨앗에 충만해졌을 때 채취 합니다. 결명자도 가을에 채취하는데, 전초를 베거나 열매 꼬투리를 따서 햇볕에 말린 후에 사용합니다. 일상에서 온몸의 신경 에너지가 몰두하는 곳이 있는데, 바로 눈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오장.. 2022. 5. 12.
구기자 나무,도꼬마리 효능 및 특징, 복용법 구기자나무 [효능] 구기자나무는 옛날부터 유명한 식물입니다. 중국 진시황이 불로초를 구해오라 한 것이 바로 구기자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장수 식물 구기자는 몸속에 나쁜 기운을 쫓아내는 장수 식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또 남자의 양기를 북돋워 주는 강한 약성이 있어서 중국의 고대 의서에서는 ‘객지 생활의 독수공방에서는 섣불리 먹지 말라’ 하고 경고하였습니다. 구기자나무의 굵은 줄기를 잘라 지팡이로 짚고 다니면 늙지 않는다고 했으며, 그래서 ‘신선의 지팡이’라고 불렸습니다. 밤색의 가루 구기자의 붉게 익은 열매와 뿌리줄기의 추출액을 졸여내서 알코올을 넣고 손바닥으로 비벼대면 모래알 같은 검은 밤색의 가루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지속해서 복용하면 콜레스테롤을 줄이는 동시에 동맥경화증 예방 치료에 엄청 좋습.. 2022. 5. 10.
참마의 효능 및 특징 알아보기 참마 산약은 우리말로는 참마라고도 부릅니다. 산약에 대한 전설이 있습니다. 본디 중국에서는 산약을 ‘서여’라고 불렀는데 지금부터 1500년 전인 수나라 때에 ‘서여’라는 임금이 있었습니다. 뭇사람들이 산약을 부를 때 거침없이 임금의 이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신성한 임금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하도록 이름을 ‘산에서 나는 귀한 약재’라는 뜻에서 ‘산약’으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그 뒤로는 서여를 산약, 서사, 산서, 회산약, 불장서 등으로 바꾸어 불렀다고 합니다. ‘참마’는 덩굴성 초본식물로 우리나라 아무 곳에나 자라납니다. 대개 햇볕이 잘 드는 야산이나 들에 많이 자랍니다. 4월 말이나 5월 초에 싹이 나서 7∼8월에 연한 녹색의 작은 꽃이 피고 가을에 3개의 날개가 달린 바람개비 모양의 열매가 달립니다... 2022. 5. 8.
겨우살이, 냉초 효능 및 특징 복용법 정리 냉 초 냉증을 고친다고 붙인 이름, 냉초 냉초라는 이름은 냉증을 고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수뤼나물 또는 숨위 나물 이라고도 하며 현삼과 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입니다. 키는 1~1.5미터쯤 자라고 잎은 3~5개씩 돌려나기로 나는데 잎 모양은 넓은 피침 꼴입니다. 여름에 붉은빛이 섞인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피어서 가을에 둥근 열매가 달립니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기슭에 자랍니다. 뿌리에 사포닌, 잎과 줄기에는 쿠마린, 아스코르브산, 알칼로이드 등이 있고, 민간에서 흔하게 쓰고 전통 한의학에서는 거의 쓰지 않습니다. 이른 봄이나 가을에 캐내어 여성의 냉증이나 대하증, 불임증 치료 약으로 쓰입니다. 특히 여성이 아랫배와 자궁이 허하고 냉하여 생긴 불임증에 효과가 좋습니다. 류머티즘성 관절염이나 요통 등.. 2022.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