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예덕나무 효능 및 복용법

by 미니팁 2022. 7. 6.

예덕나무

 

예덕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지방의 바닷가에 흔히 자라는 나무입니다. 

대극과에 딸린 중간키나무로 따뜻한 남쪽 지방의 바닷가에서 흔히 자랍니다.

예덕나무라는 이름은 예절과 덕성을 모두 갖춘 나무라는 뜻입니다.

잎은 오동잎처럼 넓고 6~7월에 담황색 꽃이 이삭 모양으로 피고

가을에 진한 갈색 열매가 익습니다.

추위에 약하며 중부 지방에서는 겨울을 나지 못합니다.

예덕나무를 한자로는 야오동(野悟桐), 또는 야동(野桐)이라고 쓰고 

일본에서는 적아백(赤芽柏) 또는 채성엽(採盛葉)으로 부릅니다.

야오동은 나무 모양이 오동나무를 닮았다는 뜻이고,

적아백은 봄철에 돋아나는 새순이 붉은빛이 난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며,

채성엽은 잎이 크고 넓어서 밥이나 떡을 싸기에 좋다고 하여 붙인 이름입니다.

뜨거운 밥을 예덕나무 앞으로 싸면 예덕나무의 향기가 밥에 배어서 매우 아취가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이 잎으로 밥이나 떡을 싸는 풍습이 있습니다.

예덕나무는 일본에서 암 특효약으로 알려졌던 나무입니다. 

예덕나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수십 년 전에 일본에 ‘오스까’ 라는 명의가 살았는데 그는 배를 만져서 

질병을 진단하는 이른바 복진법(腹診法)과 장중경(1700여 년 전 중국의 명의)의 

상한론(傷寒論) 처방을 활용하여 수많은 암 환자를 비롯하여 

온갖 난치병을 많이 고친 것으로 이름이 높았습니다.

그런데 오스까 씨의 집 주변에 한 돌팔이 노인이 있었습니다. 

그 노인은 의학 공부를 한 적이 없으면서도 오히려 오스까 씨보다 

더 많은 암 환자를 고쳤습니다. 

오스까 씨는 틀림없이 그 노인한테 특별한 비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찾아가서 정중하게 인사를 드린 뒤에 암을 고칠 수 있는 

처방을 가르쳐 달라고 하였습니다. 노인은 뜻밖에도 선선히 가르쳐 주었습니다.

오스까 씨는 그 노인이 일러준 대로 약재를 구하여 환자를 치료했는데

그 효과가 매우 좋았습니다. 노인이 수많은 암 환자를 치료한 약은 다름 아닌 예덕나무였습니다.


예덕나무는 특히 위암이나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잘되게 하며 담즙을 잘 나오게 할 뿐만 아니라, 

고름을 빼내고 염증을 삭이는 작용이 몹시 강합니다.

또 신장이나 방광의 결석을 녹이고 통증을 없애는 작용도 있습니다.

갖가지 암, 치질, 종기, 유선염, 방광이나 요로 결석 등에 치료 약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본이나 중국에서는 예덕나무 잎이나 줄기 껍질을 가루 내어

알약이나 정제로 만들어 약국에서 암 치료제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염증을 없애고 고름을 빼내는 작용


예덕나무 순을 나물로 먹을 수도 있습니다. 

이른 봄철 빨갛게 올라오는 순을 따서 소금물로 데친 다음

물로 헹구어 떫은맛을 없애고 잘게 썰어 참기름과 간장으로

무쳐서 먹으면 그런대로 맛이 괜찮습니다.

약으로 쓸 때는 잎, 줄기, 껍질을 모두 사용합니다.

위암이나 위궤양 등에는 15~30g을 물 2L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이 3분의 1이 될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합니다.

치질이나 종기, 유선염 등에는 잎이나 잔가지 1kg을 물 6~8L에 넣고

5분의 1이 될 때까지 달여서 뜨겁지 않을 정도로 식힌 다음

아픈 부위를 씻거나 찜질해줍니다. 하루 3~5번 하면 효과가 엄청 좋습니다.

뜸을 뜬 뒤에 상처가 잘 낫지 않으면 예덕나무 생잎을 태워 

가루로 만들어 아픈 부위에 뿌리면 잘 낫습니다.

예덕나무 껍질에는 베르게닌 성분이 들어 있어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고

잎에는 루틴이 들어있어 혈압을 낮춰줍니다.

이 밖에 알칼로이드 성분과 이눌린 성분 등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남쪽 지방에 사는 사람이 예덕나무 묘목을 많이 심어두고는 

벌나무라는 이름을 붙여서 간암, 간경화 특효약이라고 판매하고 있는데 

예덕나무와 벌나무는 다릅니다. 

 

벌나무는 십 년 전쯤 전에 타계한 민간의학자 인산 김일훈 선생이 

지은 책에 최고의 간질환 치료제라고 적혀 있는 나무입니다.

인산 김일훈 선생은 옛날에는 벌나무가 계룡산 등지에 드물게 자라고 있었으나

사람들이 다 뽑아가 버려서 지금은 몹시 희귀해져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예덕나무는 여러 위장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는 나무이며 

간질환을 치료하는 나무는 아닙니다.

예덕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지방에서 제법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약으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위장병 환자한테 예덕나무를 복용하도록 많이 권해 보았는데

대부분 좋은 효과가 있다고 했습니다.

 

오늘은 예덕나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글도 함께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022.06.28 - [약초] - 진달래 효능 및 복용법

 

 

https://link.coupang.com/a/rRB7R

 

(롯데택배발송) 천지가약초 청정제주산 예덕나무껍질 150g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초(퉁퉁마디) 효능 및 복용법  (0) 2022.07.19
천연 아토피제 쇠비름 효능 및 복용법  (0) 2022.07.07
진달래 효능 및 복용법  (0) 2022.06.28
약모밀(어성초) 효능 알아보기  (0) 2022.06.21
삼백초 효능  (0) 2022.06.20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