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간단 설명

강활, 강황, 건강(마른 생강) 간단 설명

by 미니팁 2022. 5. 26.

 

강활

 

효과: 호흡기, 신경계 질환을 다스립니다.

 

한방: 신경통, 관절염, 중풍, 감기, 두통, 치통에 다른 약재와 처방합니다.

 

약초 만들기: 가을에 뿌리를 캐서 잔뿌리를 제거하고 잘씻어서 햇볕에 말려줍니다.

 

용법: 치통에는 말린 약재를 1회 5g을 달려서 4~5회 복용합니다. 어깨의 관절통

         에는 강활 + 방풍 + 당귀 + 감초 + 적작약을 각각 3g씩 배합해서 물에 달여서

         복용해줍니다.

 

형태: 강활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2m 정도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갈래는 뾰족한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작은 산형화서 10~30개가 겹산형화서를 이루며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날개 있는 타원형의 분과로 여뭅니다.

 

특징: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합니다. 높은 산지나 물가, 깊은 골짜기에서  

         자랍니다. 

         이용부위는 꽃, 어린순, 뿌리를 씁니다.

         효능은 산한, 제습, 지통, 거풍습, 발표산한, 주로 신경통, 관절염, 중풍,

         감기, 두통, 치통에 좋습니다.

         뿌리를 약으로 많이 쓰며, 가을에 채취 합니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합니다.

         독성은 없습니다. 

         금기사항은 치유되면 중단해줘야 합니다.

         1회 사용량은 뿌리 5g 입니다. 

         물 500~600ml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줍니다.

         약리작용으로는 지질과 산화 방지 작용, 향균 작용, 진통 작용, 항염 작용 등

         이 있습니다.

 

 

 

 

 

 

강황

 

효과: 울혈을 풀어주고 혈증을 다스려줍니다.

 

한방: 요통, 생리통, 생리불순, 토혈, 코피, 혈뇨, 담낭결석, 치질, 종기, 소화장애,

         치매 예방에 다른 약재와 처방합니다.

 

약초 만들기: 늦가을에 덩이줄기를 캐서 잔뿌리와 줄기를 제거하고 잘게 썰어 데친 후

                     그늘에서 말려줍니다. 

 

용법: 치매 예방에는 식사할 때마다 강황의 주성분인 커큐민이

         많이 함유된 카레를 먹습니다. 치질, 부스럼에는 생덩이줄기를 짓찧어 

         환부에 붙여줍니다.

 

형태: 강황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70cm 정도입니다. 잎은 밑동에서 

         모여나고 끝이 뾰족한 타원형입니다. 땅 속에 지름 3~4cm 굵은 뿌리줄기가 있습니다.

         꽃은 6~7월에 꽃줄기 끝에 연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가을에 여뭅니다.

 

특징: 중남부, 남부 해안과 섬 지방에 분포하며, 밭에서 재배합니다.

         이용부위로는 어린잎과 뿌리를 씁니다.

         효능은 파혈행기, 통경, 기통, 혈어기체, 흉협동통, 건위, 지혈, 소종, 배설 촉진,

         주로 요통, 생리통, 생리불순, 토혈, 코피, 혈뇨, 담낭결석, 치질, 종기, 소화장애,

         치매 등이 있습니다. 뿌리를 약효로 쓰며, 늦가을에 채취합니다. 강황은 성질이

         뜨겁고 맛은 매우며, 울금의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맵고 씁니다.

         독성은 없습니다. 금기로는 임산부는 쓰지 않습니다. 1회 사용량은 뿌리(4~6g)

         입니다. 

         물 500~600ml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줍니다.

         약리 작용으로는 담즙분비 촉진 작용을 해줍니다.

 

 

 

 

건강(마른 생강)

효과: 소화기, 호흡기 질환을 다스립니다.

 

한방: 냉증, 관절통, 천남성과 반하의 중독, 생선 중독, 담식, 구토, 소화불량

         복통에 다른 약재와 처방합니다.

 

약초 만들기: 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뿌리줄기를 캐서 잔뿌리를 제거하고 

                     마르지 않도록 습한 모래에 묻어 서늘한 곳에 보관합니다.

 

용법: 만성 위염에는 생강을 4g을 캐서 물로 씻어주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물에

         달여서 마셔줍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생강과 대추를 물에 달여 꿀을 

         타서 먹습니다. 몸이 냉할 때는 생강을 캐서 햇볕에 말린 후 곱게 갈아서 

         식사를 할 때마다 한두 스푼씩 먹는다.

 

형태: 생강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50cm 정도입니다. 잎은 좁고

         길며 어긋나고, 줄기가 곧게 자랍니다. 뿌리줄기는 연한 노란색으로 울퉁불퉁한

         마디가 있습니다. 꽃은 6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긴 타원형의 

         붉은색으로 여뭅니다. 독특한 향기와 매운맛이 있습니다.

 

특징: 경기도 이남에서 분포하며, 밭에서 재배합니다.

         이용부위는 뿌리줄기를 씁니다. 효능은 발한해표, 온중, 거담, 지통, 생강(위가 차서

         구토를 하는 증상), 주로 냉증, 관절통, 천남성과 반하의 중독, 생선 중독, 구토, 담식,

         소화불량, 복통에 좋습니다.

         뿌리줄기를 약으로 많이 쓰며 가을~초겨울에 채취합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합니다.

         독성은 없고 다용하면 기를 소모시킵니다. 1회 사용량은 뿌리줄기(4~10g)입니다.

         물 500~600ml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줍니다. 

         약리 작용은 향균 작용이 있습니다.

 

 

 

 

 

 

오늘은 강활, 강황, 건강(마른 생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글도 함께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022.05.22 - [약초 간단 설명] - 감수(개감수), 감자, 감초 간단 설명

 

 

 

https://link.coupang.com/a/pgl9d

 

자연닮음 건생강 한차재료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