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목
열매가 익는 대로 채취해서 햇볕에 말려서 바로 씁니다.
열매는 괴혈병의 특효약, 그리고 비타민 결핍증 예방치료에 특별한 효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열매에는 여러 가지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강장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 허약증을 사라지게 해 줍니다
말린 꽃을 끓여 마시면 가래 삭임, 기침을 멈추며, 초기 고혈압과 뼈마디 통증, 기관지염, 폐결핵, 위염에 탕약으로도 사용되고 피로 해소에도 좋습니다.
1회 10g씩 하루 세 번을 가루로 먹어줍니다.
[먹는방법]
말린 열매를 손바닥으로 비벼 말렸다가 차로 우려내서 마시거나, 또는 열매를 오래 끓여서 음료수 대용으로도 먹습니다.
신선한 줄기와 껍질, 열매들을 생으로 즙을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열매를 3~5 배량 소주에 넣어 3개월 이상 냉암소에
묵혔다가 마시면 색깔이 좋으며 향기가 많이 나며
풍미가 있습니다.
또한 잼을 만들면 진미가 있습니다. 이렇게 식용하는 가운데 위에서 지적한 질환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효능을 나타냅니다.
[특징]
낙엽성의 활엽교목으로서 높이는 6~8m입니다.
잎은 9~13매의 잎 조각이 깃털 모양으로 모여 이루어져 있으며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합니다. 잎 조각 가장자리에는 길고 뾰족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몸은 잎맥에 따라 깊이 파이고 주름이 잡혀있습니다.
잔가지 끝에 희고 작은 꽃이 우산 꼴로 모여서 피어나 있습니다.
5~6월에 피는 꽃은 다섯 장의 꽃잎으로 이루어 있고 지름이 8~10㎜입니다.
꽃이 지고 난 뒤에는 팥배나무의 열매와 흡사한 열매를 맺는데, 지름이 5~8㎜이고 익으면 붉게 물들어 아름답습니다.
제주도와 전라도 밑 강원도에 분포하며 깊은 산속의 꽤 높은 자리에 있습니다.
신체 허약증, 피로 해소에 효과가 있습니다.
비타민 결핍증, 괴혈병의 특효약입니다.
민들레
[강한 번식력]
민들레의 꽃이 지고 나면 꽃줄기 위에 솜털 같은 실들이 둥글게 뭉쳐서 우아한 공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 씨앗들은 바람이 불어오면 쉽사리 공중으로 날아오릅니다.
어린이의 숨결에도 씨앗들은 수십 개씩 날아올라 멀리까지 여행합니다.
기류가 잘 흐르면 흰털을 가진 씨앗이 8㎞에서 40㎞까지 날아가고 6㎞의 높이로 비상하며, 아무 데서나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합니다.
이 민들레처럼 번식하는 식물들이 꽤 많이 있습니다. 번식력이 강하므로 햇볕이 잘 비치는 마당에 씨앗을 얕게 뿌려 심으면 저절로 번성합니다. 집 마당에서 재배 증식하면 날마다 생으로 식용, 약용할 분량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효능]
민들레의 싱싱한 생잎을 아침저녁으로 계속 뜯어먹으면 만성 위장병과 위궤양의 탁월한 효험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많은 양을 섭취하면 뒤통수가 지끈거리는 부작용이 일어나므로 반듯이 한 줌 정도의 소량을 끼니마다 장복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고추장이나 된장과 함께 쌈 싸 먹으면 밥맛도 좋아집니다.
이렇게 날마다 장복하면 정력이 강해지고 뼈와 근육이 튼튼해진다는 이야기가 예부터 전해지고 있습니다.
민들레 잎의 생식은 풍성한 섬유소로 인하여 대변량의 부피가 비지 상태처럼 불어나고 부드러워져서 변비가 사라집니다.
이 변비 해소의 효과를 민들레의 가벼운 설사 작용의 성분이 있는 탓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뿌리를 캐어 뜨거운 물에 잠시 담갔다가 껍질을 벗겨 데친 다음 썰어서 건조하게 한 것을 끈적하게 달여 소량씩 복용함으로써 위장의 불편함을 고친 사례가 많습니다.
건조하게 한 뿌리를 가루로 곱게 빻아 뜨거운 물에 풀면 커피 비슷한 맛이 납니다.
본초악에서는 민들레는 간염, 기관지염, 해열, 정혈, 건위, 발한, 이뇨 등의 효능 효험이 있고 담즙의 분배를 촉진하며, 일반적인 소염 해독제로 쓰인다고 합니다.
민간 약초로써 간경화증, 변비, 감기, 관절염, 폐암 등에도 두루두루 쓰여 왔고 나물 감으로 널리 먹어온 식물입니다.
최근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민들레 추출물로 동물실험을 해본 결과 위점막 보호 작용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알코올이나 아스피린 등에 의한 위의 손상을 80~90%까지 억제해
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효과는 한의학에서 밝힌 민들레가 위장질환에 효험이 있다는 오랜 임상경험을 확증해 주고 있으며, 결국 경험 의학의 가치가 높이 평가받는 사례가 계속 과학적으로 해명되고 있습니다.
민들레가 위염을 막고 위장질환의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동물 실험에서 입증됨으로써 민들레를 이용한 신약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합니다.
[식용 방법]
민들레는 일 년 중 어느 때든지 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음식 조리를 할 수 있습니다.
잎을 살짝 데쳐서 산나물 반찬거리로 삼을 수 있으며 튀김으로도 하고 샐러드로 해도 괜찮습니다. 꽃은 소금에 절였다가 살짝 데쳐서 잠시 우려낸 후 무쳐 먹기도 합니다.
맛이 약간 쓰긴 하지만 식사 때마다 생잎을 쌈으로 싸서 먹든지 양념 고추장에 푹 찍어 먹으면 차츰 그윽한 감칠맛을 느끼게 되고 모름지기 위장이 편해지게 됩니다.
이 경우 질경이 같은 식용 산야초를 곁들이면 더욱더 효과적이며 비타민, 무기질(미네랄)을 더 풍부하게 섭취하는 이로움이 있습니다.
신선한 잎을 녹즙으로 내어 마셔도 좋습니다.
[특징]
이른 봄에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 키 작은 풀로서 잎은 뿌리에서만 자랍니다.
뿌리는 굵고 길며 토막이 잘려도 다시 살아납니다. 잎이 땅 위에 뭉친 한가운데로부터 대여섯 개의 꽃자루가 자라나 각기 한 송이의 노란 꽃을 피웁니다.
꽃자루 길이는 20㎝ 정도이고 꽃의 지름은 3.5㎝ 정도입니다.
흰 꽃이 피는 것도 있는데, 이를 흰 민들레라고 하며 이것은 번식력이 약합니다.
누구나 고양의 꽃으로 여기는 친근한 식물이며 10월에 꽃을 피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국에 걸쳐 들판이나 길가와 경작지 주위에 널리 분포합니다.
만성 위장병, 위궤양, 간염에 탁월한 효험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pf5hu
황토농원 맛있는 하얀민들레 건강즙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마의 효능 및 특징 알아보기 (0) | 2022.05.08 |
---|---|
겨우살이, 냉초 효능 및 특징 복용법 정리 (0) | 2022.05.07 |
냉이,도라지 효능 및 특징, 복용법 정리 (0) | 2022.05.07 |
녹용이란, 효능 및 복용법 정리 (0) | 2022.05.07 |
꾸찌뽕나무,더위지기 효능 및 특징, 복용법 (0) | 2022.05.06 |
댓글0